▶ Elliott wave oscillator와 fractal count
 |
KOSPI daily chart, 2011-11-10 |
- 2011년 4월 19일부터 11월 10일까지의 daily chart입니다.
- d1 → d2의 divergence 이후 fractal count 30에서 시작하는 상승 파동을 어떻게 해석해야 할까요?
- 위 chart의 시점에서 시작되는 조정 후 새로운 상승 추세의 시작으로 봐야할까요? (해석 1)
- 아니면, 하락 추세 중 조정으로 봐야 할까요? (해석 2)
▶ Wave Structure
 |
위 chart에서 적색으로 그려진 파동을 조정 완성 후 새롭게 시작되는 미달형 충격패턴으로 해석 |
 |
하락 추세의 충격패턴(1 → 5) 후 조정 a(지그재그, fractal count 30 → 33), b를 진행 중으로 해석
(이렇게 해석하기에는 조정 a의 폭이 너무 큰 것 같지 않나요?) |
- 어떻게 해석하던지 간에 Elliott wave oscillator에 나타나는 divergence의 유용함은 인정해야 하겠네요.
※ Elliott Pattern Helper Add In
- Download Add In for Excel 2007 ☞
- Download Add In for Excel 2003 ☞
댓글 없음:
댓글 쓰기